컴퓨터로 업무를 하는 경우 4K 모니터 2개를 사용하면서 8개의 창을 다양하게 활용 했습니다.
이렇게 작업을 하다 보니 컴퓨터 사양도 라이젠7에 메모리도 32GB 부품을 쓰고 있습니다.
단점 이라고 하면 다양한 작업을 하다 보니 컴퓨터가 시끄럽다는 부분 입니다.
최근에는 4K 모니터 1개만 쓰면서 가상 데스크톱을 활용하고 있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가상 데스크톱이란?
하나의 물리적인 모니터 화면을 여러 개의 독립적인 논리적 데스크톱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각 가상 데스크톱은 별도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므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면서도 화면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가상 데스크톱의 장점:
가상 데스크톱 사용 방법
Win + Ctrl + D
를 누릅니다.Win + Tab
을 눌러 작업 보기 화면을 열고 화면 상단의 + 새 데스크톱을 클릭합니다.Win + Ctrl + ←
또는 Win + Ctrl + →
를 눌러 이전 또는 다음 데스크톱으로 이동합니다.Win + Tab
을 눌러 작업 보기 화면을 열고 원하는 데스크톱을 클릭합니다.Win + Ctrl + F4
를 누릅니다.Win + Tab
을 눌러 작업 보기 화면을 열고 닫고 싶은 데스크톱 섬네일 우측 상단의 X 버튼을 클릭합니다.Win + Tab
을 눌러 작업 보기 화면을 열고 이름을 변경하고 싶은 데스크톱 섬네일을 클릭한 후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합니다.설정 > 개인 설정 > 배경
에서 배경을 선택한 후, 작업 보기에서 원하는 데스크톱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배경 선택
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Win + Tab
을 눌러 작업 보기 화면을 열고 이동하려는 창을 원하는 데스크톱 섬네일로 드래그 앤 드롭합니다.Win + Tab
을 눌러 작업 보기 화면을 열고 순서를 변경하려는 데스크톱 섬네일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합니다.업무 유형 별로 데스크탑을 구분해서 사용하면 업무 효율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CTRL + Win + 방향키 좌 우로 이동하면 쉽게 전환이 되어 편리 합니다.
데스크톱1 : 웹 브라우저 및 개발 환경
데스크톱2 : 유튜브 뮤직, 유튜브